✔ REST API란 ?
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
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!
REST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 하다고 할 수 있다.
RESTful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Client와 Server에서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게하기 위해서.
RESTful한 API를 구현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성능향상 X
'일관적인 컨벤션을 통한 API의 이해도 및 호환성을 높이는 것'
ex) RESTful 하지 않은 API: CRUD기능을 모두 POST로만 처리하는 API
✔ REST란?
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
1.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(=자원의 표현)
자원 = 문서, 사진, 그림, 데이터 등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HTTP URI 통해 명시
ex) DB의 영화 정보가 자원일 때, /movie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.
2.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 (요청 ➡ 응답)
Client가 자원의 상태(정보)에 대한 조작 요청 ex) GET / POST / PUT / DELETE
Server는 이에 적절한 응답을 JSON / XML 을 통해 데이터를 보냄
✔ REST의 구성요소
1. 자원(Resource): HTTP URI
클라이언트는 URI를 이용해서 자원을 지정(어떤 정보를 요청할 것인지)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
ex) GET / POST / PUT / DELETE 로 요청하는 /movies/:id 와 같은 HTTP URI
2. 행위(Verb)
HTTP 프로토콜의 Method 사용 (GET / POST / PUT / DELETE 와 같은 메서드 제공)
3. 표현(Representation of Resource)
클라이언트가 자원의 상태(정보)에 대한 조작을 요청하면 Server가 이에 적절한 응답을 보낸다
ex) 클라이언트가 GET 호출로 /movies/:id 를 보낼 경우 Server는 이에 따른 데이터를 JSON이나 XML으로 응답
✔ REST의 특징/장단점
특징
1. Stateless(무상태성)
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음.
세션 정보나 쿠키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아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을 단순히 처리하면 됨
2. Selfe-descriptiveness(자체표현구조)
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음
3. Client - server 구조
REST 서버는 API 제공,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세션,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
역할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의존성이 줄어들게 됨
장점
1.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REST API 사용을 위한 별도의 인프라 구축할 필요 X
2. HTTP 표준 프로토콜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아용 가능
3. REST API 메시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
4.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
단점
1.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.
2.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가 4가지 밖에 없어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이다.
<참고>
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9/21/rest-and-restful.html
[Network] REST란? REST API란? RESTful이란? - Heee's Development Blog
Step by step goes a long way.
gmlwjd9405.github.io
'CS > CS 면접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Spring Boot vs Spring (1) | 2024.11.21 |
---|---|
[Spring JPA] JPA(Java Persistence API)란? (0) | 2024.11.21 |